가족정책과 감사담당관 건강증진과 (외부) 건축과 건축안전센터 공동주택과 교육지원과 교통행정과 구정혁신추진단 기획예산과 기후환경과 도로과 도시경관과 도시계획과 문화예술과 민원여권과 보건위생과 (외부) 보건의료과 (외부) 보건행정과 (외부) 보육지원과 복지정책과 부동산정보과 생활보장과 생활체육과 세무관리과 스마트도시과 아동청소년과 어르신복지과 일자리정책과 자치행정과 장애인복지과 재건축재개발과 재난안전과 재무과 재산세과 주차행정과 지방소득세과 지역경제과 청소행정과 치수과 푸른도시과 행정지원과 홍보과 맑은환경과 부서위치안내 부서위치강동구청 성안별관 2층 대표전화 팩스번호 오시는길지도보기 부서소식 2012-12-11 쿨시티강동네트워크 토론회 개최 붙임 : 쿨시티강동네트워크 참여신청서 1부. 2012-12-07 동계 에너지 사용제한에 관한 조치 안내 ◎ 에너지사용의 제한에 관한 공고(지식경제부 공고 제2012-520호) ○ 시행기간 : 2012년 12월 3일부터 2013년 2월 22일까지 * 제외기간 : 시행기간중 토요일, 일요일, 법정공휴일은 제외 ○ 제한내용 - 건물의 난방온도 제한 ․ 제한대상 : 강동구 388개소 - 별첨 명단 참조 ① 일반용 및 교육용 전력을 사용하며 전기사업자와의 계약전력이 100kW 이상, 3,000kW 미만인 전력다소비 건물 ② 연간 에너지사용량이 2,000 toe 이상의 에너지다소비 건물 ․ 제한온도 ① 난방기기 가동 시, 20℃ 이하로 유지(공공기관은 실내온도 18℃이하) ② 난방기기 미가동 시 20℃ 이하 제한 대상이 아님 ․ 제외 대상 건물 : 공동주택, 공장, 군사시설, 데이터센터, 사회복지시설, 유치원, 의료기관, 전통시장, 종교시설 ․ 제외 구역 ① 강의실, 도서� 2012-11-20 다가오는 황사피해 이렇게 대비합시다. 황사피해 이렇게 줄이세요... 매년 이맘때(11월 12월)가 되면 중국․몽골 등지에서 황사가 많이 발생되고 있습니다. 황사는 가시거리 저하 뿐 아니라 호흡기 장애, 천식, 알러지 등 피해를 유발함에 따라 구에서는 황사로부터 구민의 건강보호와 황사징후 상시감시, 신속한 예․경보 전파를 위해 『황사대비 종합상황실』을 운영하고 있으니 “황사 예․경보” 및 기상정보를 수시 확인하여 “황사발생시 시민행동요령”에 따라 황사피해에 대비하시기 바랍니다. 황사대비 종합상황실 o 운영기간 : 2012. 11월 ~ 12월 o 운영부서 : 강동구청 맑은환경과(☎3425-5920) o 주요활동 ▪ 황사측정망, 대기측정망 등을 통한 대기오염도 상시 감시 ▪ 황사 예보 및 특보(주의보, 경보) 전파 ▪ 황사 피해 방지를 위한 시민행동요령 전파 1. 방송매체를 통한 확인 ; TV나 라디오의 일기예보를 시청합니다. 2. 기상청의 날씨 홈페이지에서 확인 : www.kma.go.kr * 서울시 대기환� 2012-11-19 11월 환경개선부담금 체납 일제정리기간입니다. 대기 및 수질 환경개선을 위해 쓰이는 환경개선부담금으로 맑고 깨끗한 환경을 만들어가기 위해 「오염원인자부담원칙」에 의거 오염원인자에게 매년 상․하반기 2회에 걸쳐 부과되는 환경개선부담금 중 현재까지의 체납액에 대하여 11월 8일부터 체납 일제 정리기간으로 정하여 추진하고 있습니다. ■ 정리대상 : 2012. 10. 31. 현재 체납자 ■ 납부기간 : 2012. 11. 16. ~ 11. 30. ■ 납부방법 : 인터넷, 휴대폰 및 고지서 은행 납부 이 기간 내에 납부치 않는 체납자에 대해서는 재산압류 등 강제징수 할 예정입니다. 인터넷으로 납부하실 경우는 ① 서울시지방세전자납부(http://etax.seoul.go.kr) 계좌이체 및 카드(신한, 삼성, 현대, 롯데, BC, 외환, 농협, 하나, SK)로 납부, ② 시중은행 및 인터넷지로(http://www.giro.or.kr)이용 계좌이체 납부, ③ 휴대폰을 이용하여 우리은행 계좌이체 및 신용카드(삼성, 현대, 우리BC)로 납부가능하며, 또한 환경개선부담금 납부 전용계좌(우리은행, 신한은행, 하나은행)로 납부하실 수 있으며, 고지서 납부의 경우 시중은행 민원FAQ 2012-06-27 건물에너지 효율화사업(BRP)이란? 건물에너지 효율화사업이란? 건물의 에너지 손실요인을 찾아 개선함으로써 건물의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키는 사업으로 건물단열공사, LED조명 교체, 고효율 보일러 교체 등을 통하여 에너지 절감, 건물운영비 절감, 온실가스 감소, 에너지효율 증가, 건물수명 연장 등 경제적 효과를 거둘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맑은환경과 탄소경영팀(☎02-3425-5940)으로 문의 바랍니다. 2012-06-27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란 무엇인가요?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란 기후변화 원인인 온실가스를 감축하기 위해 기관(사업장)별 기준배출량과 감축목표량을 정하고, 반기별 배출량 검증한 후 잉여분 또는 부족분에 대해 거래시스템을 통해 거래하는 제도 ** 자세한 내용은 맑은환경과 탄소경영팀(☎02- 3425-5943)으로 문의 바랍니다.. 관련 홈페이지: http://geis.kemco.or.kr/ 2012-06-22 에코마일리지 인센티브는 무엇이 있나요? 에코마일리지에 가입하면 에너지를 절약하면 어떤 인센티브가 있나요? -> 에코마일리지 가입 후 6개월동안 5~15%이상 절감시 1만~5만 마일리지가 제공됩니다. -> 인센티브 종류 1. 개인 : 에코마일리지 홈페이지에서 지급된 마일리지를 모아 전통시장 상품권, 교통카드 충전권, 아파트관리비 차감 등으로 교환 2. 단체 : 소정의 건물에너지효율화 사업비 지급 및 인증표지 제작 * 자세한 내용은 강동구청 맑은환경과 에너지실천문화팀(☎ 02-3425-5934)으로 문의바랍니다. 관련 홈페이지: http://ecomileage.seoul.go.kr/home/index.do 2012-06-21 유출지하수 발생시 어떻게 하나요? 공사장 또는 건물에서 유츌지하수가 발생하면 30일 이내에 구청에 신고하여야 하고 공공 하수도에 배출한 하수도 요금을 납부하여야 합니다. o 신고대상 : 유출지하수 발생하는 공사장 또는 건물 o 유출지하수 용도 : 생활용수 중 소방용, 청소용, 조경용 또는 공사용 등 o 하수도 사용요금 : 톤당 220원(변동요금발생시 변동요금 적용) o 미신고 조치사항 - 유출지하수 발생량 미신고 : 면한 요금의 4배이상의 과태료 - 유출지하수이용계획 미신고 : 200만원이하의 과태료 부과규정 적용 0 기타 문의사항은 강동구청 맑은환경과 기후변화관리팀 ( ☎ 02-3425-5910)으로 문의 바랍니다. 지하수 관련 홈페이지: http://www.gims.go.kr/ 민원서식 등록된 자료가 없습니다. 자료실 2012-11-30 [신재생에너지 시리즈] 제11탄 해양 해양에너지는 해양의 조수·파도·해류·온도차 등을 변환시켜 전기 또는 열을 생산하는 기술로써 전기를 생산하는 방식은 조력·파력·조류·온도차 발전 등이 있음 조력발전 조석간만의 차를 동력원으로 해수면의 상승하강운동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기술 파력발전 연안 또는 심해의 파랑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기술 조류발전 해수의 유동에 의한 운동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기술 온도차발전 해양 표면층의 온수(예 : 25∼30℃)와 심해 500∼1000m정도의 냉수(예 : 5∼7℃)와의 온도차를 이용하여 열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시켜 발전하는 기술 해양에너지(파랑,조석,수온,해류,바람,염도) 해양에너지가 OWC열교환댐에서 기계에너지로 1차변환됨. 기계에너지는 터빈 저낙차발전으로 전기, 열로 2차변환됨. 양식장,해수순환,조명,육상,Grid의 이용처에 저장(축전지 수소발생) 에너지 이용방식에 따라 조력, 파력, 온도차발전으로 구분되며, 기타 해류발전, 근해 풍력발전, 해양 생물자원의 에너지화 및 염도차발전 등이 있음 발전의 종류와 입지조건 구분 조� 2012-11-30 [신재생에너지 시리즈] 제9탄 지열 지열에너지는 물, 지하수 및 지하의 열 등의 온도차를 이용하여 냉ㆍ난방에 활용하는 기술 태양열의 약 47%가 지표면을 통해 지하에 저장되며, 이렇게 태양열을 흡수한 땅속의 온도는 지형에 따라 다르지만 지표면 가까운 땅속의 온도는 개략 10℃∼20℃정도 유지해 열펌프를 이용하는 냉난방시스템에 이용 우리나라 일부지역의 심부(지중 1 ~ 2 km) 지중온도는 80 ℃ 정도로서 직접 냉난방에 이용 가능 건축물의 내부에 설치된 배관은 건축물 외부의 히트펌프와 연결되어있고 이는, 지상에 설치된 열교환기를 통해 지하의 지열루프파이프와 연결됨. 지열시스템의 종류는 대표적으로 지열을 회수하는 파이프(열교환기) 회로구성에 따라 폐회로(Closed Loop)와 개방회로(Open Loop)로 구분됨.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폐회로는 파이프가 폐회로로 구성되어 있는데, 파이프내에는 지열을 회수(열교환) 하기 위한 열매가 순환되며, 파이프의 재질은 고밀도폴리에칠렌이 사용됨 폐회로시스템(폐쇄형)은 루프의 형태에 따라 수직, 수평루프시스템으로 구분되는데 수직으로 100~150m, 수평으로는 1.2~1.8m정도 깊이로 묻히게 � 2012-11-30 [신재생에너지 시리즈] 제8탄 석탄가스화, 액화 가스화 복합발전기술(IGCC:Integrated Gasification Combined Cycle)은 석탄, 중질잔사유 등의 저급원료를 고온·고압의 가스화기에서 수증기와 함께 한정된 산소로 불완전연소 및 가스화시켜 일산화탄소와 수소가 주성분인 합성가스를 만들어 정제공정을 거친 후 가스터빈 및 증기터빈등을 구동하여 발전하는 신기술 고체 연료인 석탄을 휘발유 및 디젤유 등의 액체연료로 전환시키는 기술로 고온 고압의 상태에서 용매를 사용하여 전환시키는 직접액화 방식과, 석탄가스화 후 촉매상에서 액체연료로 전환시키는 간접액화 기술이 있음 석탄가스의 특징 장점 단점 고효율 발전 SOx를 95%이상, NOx를 90% 이상 저감하는 환경친화기술 다양한 저급연료(석탄, 중질잔사유, 폐기물 등)를 활용한 전기생산 가능, 화학플랜트 활용, 액화연료 생산 등 다양한 형태의 고부가가치의 에너지화 소요 면적이 넓은 대형 장치산업으로 시스템 비용이 고가이므로 초기 투자비용이 높음 복합설비로 전체 설비의 구성과 제어가 복잡하여 연계시스템의 최적화, 시스템 고효율화, 운영 안정화 및 저비용화가 요구됨 석탄� 2012-11-30 [신재생에너지 시리즈] 제7탄 폐기물 폐기물에너지는 폐기물을 변환시켜 연료 및 에너지를 생산하는 기술 사업장 또는 가정에서 발생되는 가연성 폐기물 중 에너지 함량이 높은 폐기물을 열분해에 의한 오일화, 성형 고체 연료의 제조기술, 가스화에 의한 가연성 가스 제조기술 및 소각에 의한 열회수 기술 등의 가공ㆍ처리 방법을 통해 고체 연료, 액체 연료, 가스 연료, 폐열 등을 생산하고, 이를 산업 생산활동에 필요한 에너지로 이용될 수 있도록 재생에너지를 생산하는 기술 종이, 나무, 플라스틱 등의 가연성 폐기물을 파쇄, 분리, 건조, 성형 등의 공정을 거쳐 제조된 고체연료 주) RDF : Refuse Derived Fuel 자동차 폐윤활유 등의 폐유를 이온정제법, 열분해 정제법, 감압증류법 등의 공정으로 정제하여 생산된 재생유 플라스틱, 합성수지, 고무, 타이어 등의 고분자 폐기물을 열분해하여 생산되는 청정 연료유 가연성 폐기물 소각열 회수에 의한 스팀생산 및 발전, 시멘트킬른 및 철광석소성로 등의 열원으로의 이용 등 <!-- //본문내용 E --> 관련업무 환경신문고 환경자료실 원전하나줄이기 녹색에너지 민원상담 응답소 관련사이트 ·환경부 ·한국에너지공단 ·서울시원전하나줄이기 ·ECO마일리지 주요업무 직원업무안내 FilePath : FID: PN: AccessCookieData: FileType : LOCAL URL FTP HTML ConvertType : DEFAULT HTML IMG PDF ConvertLocale : DEFAULT en_US ko_KR ja_JP zh_CN zh_TW UrlEncoding: UTF-8 EUC-KR refererUrl : downloadUrl : watermark: sync:truefalse forceConv:truefalse title : single:truefalse